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단독] "채 해병 사망 전날, 여단장-대대장 독대" 진술 확보

<앵커>

채 해병 사망에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당시 현장 책임자였던 여단장과 대대장을 불러서 대질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 저희가 단독취재한 내용까지 전해드립니다. 바로 현장 연결합니다.

서동균 기자, 대질 조사가 지금도 진행되고 있는 것입니까?

<기자>

네, 오후 1시에 시작된 대질조사가 현재까지 7시간 넘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번 조사에서 경찰은 수중 수색 작업이 누구 지시로 어떤 과정으로 이뤄졌는지를 집중적으로 확인하고 있습니다.

당시 수색 현장에 투입된 해병대 1사단 포병 11대대장은 상관인 여단장의 지시에 따라 수중 수색을 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대장은 당시 작전명이 '수변'으로 여단장 지시 이전에는 물가 주변 수풀이 있는 곳까지만 수색하도록 지시를 하달했다며, 관련 증거를 제출했습니다.

하지만, 7여단장은 다른 주장을 내놨습니다.

수중 수색과 관련해 무릎까지 들어가도 된다는 식의 구체적 지시를 한 적이 없으며, 수색을 독려하는 원론적 차원의 지시를 한 게 전부라고 맞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앵커>

이렇게 진술이 엇갈리고 있는 두 사람이 독대를 한 사실이 확인됐다고요?

<기자>

네, 지난해 7월 18일이죠, 그러니까 채 해병이 숨지기 하루 전날 여단장과 대대장이 독대한 사실을 경찰이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11대대장과 7여단장은 이 자리에서 저녁식사를 하며 수중 수색 작업에 대해 대화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대장은 당시 대화에서 여단장이 사단장 강조 사항을 전파하며, '필요하면 물에 더 깊이 들어가도 된다고 했다'는 취지로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 어디까지 들어가도 되느냐며 확인을 구하기 위해 허벅지 인근을 가리키자, 여단장이 '그 정도는 들어가도 된다'고 답했다는 게 대대장 측 주장입니다.

대대장은 이후 수색 깊이에 대한 상한선을 무릎 아래까지 정해 대대에 전파했다고 진술했습니다.

하지만, 여단장은 그런 대화를 나눈 적이 없다고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당시 두 사람 사이에 오간 SNS 등을 분석해 대화의 진위 여부를 확인하고 있습니다.

경찰은 대대장의 진술이 구체적인 만큼 임성근 전 사단장도 조만간 다시 불러 조사할 계획입니다.

(영상취재 : 양두원, 영상편집 : 박정삼)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