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소액 주주들 "당했구나"…논란의 '환매조건부 주식매매'

<앵커>

돈이 필요한 상장사들이 최근 "환매 조건부 주식 거래"라는 걸 많이 이용합니다. 대주주 지분을 넘기는 대신에 돈을 빌리고 나중에 지분을 되살 수 있도록 하는 건데요. 원래 취지랑 달리 대주주가 급히 돈 필요할 때 활용하다가 회사가 어려워지면 지분을 처분하는 식으로 악용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안상우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터보 압축기 제조사인 '뉴로스', 재작년 코스닥 시장에서 상장 폐지됐습니다.

1만 4천 명에 달하는 소액 주주들이 큰 피해를 입었는데, 정작 최대 주주는 보유 지분 절반을 처분했습니다.

어떻게 가능했을까.

대주주가 활용한 건 '환매 조건부 주식 매매' 일종의 주식담보 대출처럼 지분 125만 주를 외국계 운용사에 팔아 약 20억 원 급전을 융통한 후, 만기가 되면 지분을 다시 되살 수 있어 경영권이 유지되는 방식입니다.

그런데 감사 의견 거절로 주식 거래가 정지되자, 대주주는 지분을 되사는 권리를 포기해 버렸습니다.

회사 측은 "지분을 처분할 의도가 없었다"는 입장이지만 소액 주주들 생각은 다릅니다.

[소액 주주 : '이자가 싼 일종의 담보 대출인가?' 그런 식으로 이해하는 경우가 많이 있었죠. 나중에 알아보니까 '계약 파기를 해버리면 현금화할 수 있는 그냥 변칙적인 수단을 제공해주는구나. 순진하게 당했구나'라는 생각을 하게 되는 거죠.]

지난 2020년에는 2곳에 불과했던 환매조건부 주식 계약 이용 사례는 최근에는 25개 기업으로 늘었습니다.

이 가운데 주식을 되사오지 않고 대주주가 지분을 처분한 건 11곳.

특히 거래 정지 같은 악재 발생 이후 지분을 처분한 상장사가 3곳입니다.

대주주가 급전 창구로 활용하다가 경영 상황이 악화하면 지분을 처분하는 일명 '엑시트' 통로로 악용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입니다.

소액 주주들은 이런 가능성을 미리 인지하기 어렵다는 게 문제입니다.

[심혜섭/변호사 : 매매로 종결될 가능성이 높은 사안임에도 불구하고 그냥 담보계약처럼 오인될 소지가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심지어 주가 조작이라든지, 내부자 정보라든지 악용할 가능성을 또 만들어주는 (거죠.)]

금융당국도 환매조건부 주식 계약에 대한 공시 내용을 보완하는 등 개선 방향을 검토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황인석·김남성·이상학, 영상편집 : 정용화, 디자인 : 임찬혁·최재영)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