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SBS 뉴스 상단 메뉴

경찰, 현장 책임자 대질조사…"채 해병 사망 전날 독대"

<앵커>

채 해병 순직 사건을 수사하고 있는 경찰이, 당시 현장 책임자였던 해병대 여단장과 대대장을 불러, 오늘(20일) 새벽까지 조사했습니다. 말이 엇갈리고 있는 두 사람은 사고 전날 단 둘이 만나, 수색과 관련해 대화를 나눈 걸로 알려졌습니다.

서동균 기자입니다.

<기자>

군복 차림에 팔각모를 쓰고 나타난 해병 여단장과 대대장.

채 해병 순직 사건을 수사하는 경찰이 어제 오후 1시부터 두 사람을 불러 대질조사를 벌였습니다.

[정준영/대대장 측 변호사 : (두 지휘관의 입장이) 일치하는 부분도 있고 엇갈리는 부분이 있기는 한데 그런 부분들도 조사를 통해서 성실히 밝히도록 하겠습니다.]

핵심 쟁점은 수중 수색 작전 지휘 책임이 누구에게 있느냐입니다.

당시 현장에 투입됐던 해병대 1사단 포병 11대대장은 상관인 여단장의 지시에 따라 수중 수색을 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대장은 당시 작전명이 '수변'으로 여단장 지시 이전에는 물가 주변 수풀이 있는 곳까지만 수색하도록 지시를 하달했고, 관련 증거를 제출했습니다.

하지만, 7여단장은 다른 주장을 내놨습니다.

수중 수색 관련 구체적 지시를 한 적이 없으며 독려하는 원론적 차원이었다는 것으로 맞서는 걸로 알려졌습니다.

두 사람은 계속해서 상반된 주장을 하다 조사 시작한 지 15시간 만인 오늘 새벽 4시에 조사를 마치고 귀가했습니다.

[김영현/여단장 측 변호사 : 저희 입장은 원래 입장대로 이해하시면 되고 그게 대질심문 과정에서 확인이 됐다 이렇게 생각이 됩니다.]

두 지휘관은 채 해병이 숨지기 하루 전날 저녁 식사를 하며 독대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대대장은 당시 수색 관련 대화에서 여단장이 사단장 강조 사항을 전파하며 '필요시 더 깊이 들어가도 된다'는 취지를 전했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또 어디까지 들어가도 되느냐고 물으며 허벅지를 가리키자 여단장이 '그 정도는 된다'고 답했다는 게 대대장의 주장입니다.

반면, 여단장은 그런 대화를 나눈 적 없다고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경찰은 두 사람 사이 오간 SNS 등을 분석해 대화 진위여부를 파악하는 한편, 대대장 진술이 구체적인 만큼 조만간 임성근 전 사단장도 다시 불러 조사할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양두원, 영상편집 : 김윤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스브스프리미엄

스브스프리미엄이란?

    많이 본 뉴스